본문 바로가기
답사여행

산음자연휴양림과 홍유릉 나들이(2)

by 연우아빠. 2011. 9. 21.

요즘 박시백이 그린 조선왕조실록에 몰입하고 있는 준기는 왕릉을 모두 섭렵하겠다는 자세로 계속 왕릉타령이다.

동구릉 다녀온 다음날부터 준기는 홍유릉을 가자고 몇 번이나 얘기를 했다. 가는 길에 점심시간이 될 것 같아 어딜갈까? 하고 물었더니 두 녀석이 <소리마을!!>이라고 한다. 예전에 몇 번 갔는데 그 맛을 기억하는 모양인데 한끼 먹기에는 가격이 좀 후덜덜한 곳이다. 산음휴양림을 나와 왼쪽으로 올라가는 길을 택했는데 조금 가다보니 입간판이 보였다. <남궁억 선생 기념관>이라는 표지. 점심시간까지 조금 여유가 있을 듯 싶어 얼른 기념관으로 들어갔다.


산음에서 양평가는 길에 우연히 들르게 된 남궁억 선생 기념관


역사 교과서에서 배웠던 남궁억 선생. 무궁화를 보급하고 70여년의 삶을 독립투쟁에 매진했던 교육자. 그 분이 무궁화 보급을 위해 고향인 이곳 홍천 모곡리에서 무궁화 묘목을 키웠다.

“내가 죽거든 무덤을 만들지 말고 나무 밑에 묻어 거름이나 되게 하라”

남궁 선생의 유언이라고 한다. 유언을 보는 순간 “내가 죽거든 무덤을 만들지 말고 내 시신을 화장해 사랑하는 내 조국 인도의 하늘에 뿌려다오”라고 했던 인도의 네루 수상이 생각이 났다. 수탈을 당해 뼈만 남은 앙상한 조국의 산하에 거름이라도 되고 싶었던 선각자들에게 보인 공통점.


기념관 내부


선생은 독립운동이 일어나게 된 원인에 대해 이렇게 요약했다.

가혹한 무단통치, 정치와 행정에 대한 한국인의 참여금지, 극심한 민족적 차별과 압제,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 박탈, 종교에 대한 간섭과 핍박, 한국인의 토지를 강탈하고 만주 이주 강요, 한국인에 대한 도덕적 타락 유도, 도를 넘은 경제적 수탈과 핍박....그리고 대한인들의 유별나고 강렬한 독립정신.


남궁억 선생이 세운 보리울(모곡리) 예배당


우리나라 사람들 가운데 아직도 식민지 근대화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남궁 선생은 그들에게 뭐라고 했을까? 비가 온 뒤라서 공기가 너무 깨끗했다. 맑은 영혼을 가진 선각자의 자취는 그가 살았던 고향만큼이나 깨끗했다.


예배당 옆으로 보이는 마을은 평화롭고 깨끗해 보인다.


다시 길을 나와 양평에 도착했다. 부담스러운 가격이지만 너무 맛있는 양평 소리마을. 이집을 출입한 지 6년이 되었는데 해가 갈수록 손님이 점점 는다. 갈수록 맛은 더 좋다는 느낌.

대구로 갈 시간이 얼마남지 않았다. 점심을 마치고 도착한 홍유릉 입구에서 사릉 표지판이 보인다. 

“사릉은 누구의 능이지?”

“아빠, 단종의 왕비인 정순왕후의 능이야. 그리고 이 근처에 광해군의 무덤도 있어”라고 하며 거기도 가보고 싶다고 한다. 대구에 내려갈 시간이 부족하니 다음에 가자고 준기를 달래고 홍유릉으로 들어갔다.(집에 와서 지도를 검색해보니 두 군데 다 다녀와도 될 정도로 가까웠는데...)


고종과 명성황후 합장릉인 홍릉, 순종과 순명효황후/순정효황후 합장릉인 유릉


일본 정부는 낭인으로 위장한 자들을 파견해 일본공사(미우라)와 함께 평소 포섭해 둔 조선 장교들의 안내를 받아 궁궐에 난입해 명성황후를 시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1985.10.8 을미사변). 고종황제가 명성황후를 처음 장사지낸 곳이 현재 서울 청량리에 있는 홍릉이었는데 고종황제 승하 후에 황제릉을 이곳에 조성하여 황후의 시신도 여기로 옮겨 합장릉으로 만들고 홍릉이라고 불렀다. 후에 순종황제도 그 옆에 자리를 잡아 유릉이라 부르게 되었다.


홍릉. 황제릉의 격식은 갖추었으나 석물도 옹색하다.


홍릉의 무인상, 무인의 기개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문인상. 선비의 기상은 없고 만화 캐릭터 같은 빈약한 표정


재실에서는 홍릉의 봉분이 보이지 않는다. 옆으로 한참 돌아가야 붕분이 보인다.


대한(大韓)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능을 표시한 비각


두 황제릉은 제국을 선포한 뒤에 황제였기 때문에 외형상 조선 역대왕릉과는 다른 황제릉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양, 낙타, 기린, 코끼리 등의 동물상과 무인상, 무신상이 홍살문 다음에 배치되어 있고 정자각 대신에 재실을 배치했다. 그런데 홍유릉은 방향부터 이상하다. 홍릉은 항상 찬 바람이 강하게 부는 서북향으로 자리잡고 있고 홍릉은 서북향 길에 묘터는 서향으로 자리잡았다. 무인상과 문인상의 표정은 옹색하고 빈약하다. 엄정함과 강건함을 느낄 수 없는 간사하고 가벼운 표정이다. 게다가 경내에는 조선의 풍수에서 금기시 하는 인공 연못까지 만들었다. 

역대 조선왕릉에 서향이 있다면 서풍을 막는 방풍림이나 산이 있는 경우에만 한두개 있을 뿐 바람이 무시로 드나드는 개활지에 서향으로 왕릉을 배치한 곳은 없다. 대부분 남향, 남동향, 동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산과 숲으로 안정된 자리 배치가 기본이다. 원래 청량리에 있던 명성황후의 홍릉은 남향이었다. 풍수지리에 관련된 책 가운데 특히 유릉은 뱀 구멍이 많이 보일정도로 영혼의 안식과는 거리가 먼 무덤이라고 기술한 것도 있다. 영혼의 안식을 얻지 못하는 풍수침략의 모습이라고 해야 하나.


순종황제와 순종황제의 황후, 계비 세분을 합장한 유릉.
홍릉에 비해 동물 조각은 좀 모양을 갖췄다.


나라를 잃으면 마찬가지 처지겠지만 특히나 일본 같은 수준 낮은 나라에게 나라를 빼앗기면 어떤 꼴을 겪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홍유릉이다. 어찌됐건 일본인들이 여기에 홍유릉을 만든 목적은 달성됐다. 조선왕실의 적장손은 단절됐고 나라를 지키지 못한 두 황제는 허울만 남은 채 영혼의 안식마저 빼앗긴 허허로운 공간에서 시달리고 있다.

활짝 뚫린 서북쪽에서 잠시도 쉬지 않고 찬 바람에 계속 몰아친다. 1919년에 승하한 고종의 비각에는 대한(大韓)이라는 나라 이름이나마 남겼지만 1926년에 승하한 순종은 비각조차도 나라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말았다.


유릉의 문인상과 무인상. 그리고 비각.
홍릉보다는 나아보이지만 조선왕조의 석상에 비해 위엄이 없다.

 


나라 이름 마저 상실한 순종황제의 비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