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답사여행

춘천여행 #4 장절공 신숭겸

by 연우아빠. 2010. 11. 16.
2010.11.13(토)

박물관을 구경한 뒤 가까운 시내에서 주은아빠가 첫번째로 추천해 준 원조숯불닭갈비집((033-257-5326)에 가서 점심을 먹었습니다.
허름한 겉모습이고 주차 공간도 좁지만 양념숯불구이도 맛있었고 채소무침도 상큼했고 마지막에 먹은 된장찌개도 일품이었습니다. 소박한 된장찌개가 과식을 하게 만들었네요. 1961년부터 시작했으니 50년이 다 되었는데 장수하는 비결이 있었군요.
친절하고 맛있는 서비스 잘 먹고 또 구경길에 나섰습니다.

준기가 춘천 지도에서 찾은 곳입니다.
장절공 신숭겸 장군의 묘. 이 분은 평산신씨의 시조지요.

신숭겸 장군은 원래 이름이 능산입니다.
고려 개국공신이 되면서 홍유, 신숭겸, 배현경, 복지겸 네 분이 모두 삼한벽상공신이 되고 성을 하사 받습니다.


묘역으로 가는 길에는 요즘 보기 드문 능수버들이 있습니다.
늦가을을 느낄 수 있는 까치밥 같은 감이 드문 드문 남아 있습니다.
묘역 정비 공사를 하느라 주변이 어수선 한 상태입니다.


장절공을 모신 사당 장절사입니다. 오른쪽 쪽문을 통해 안으로 들어가 봅니다.


사당입니다. 안내문을 보니 어휴! 하는 한숨이 나옵니다.
하필 친일파로 지목된 김기창이 이 분의 영정을 그려서 여기 봉안했다고 합니다.
원래 있던 영정은 워낙 오랜 세월이 지나다 보니 제대로 보존이 안된 모양입니다.


숙종 임금 때 세운 비문이라고 합니다.
당대 최고의 유학자이자 명문으로 유명했던 미수 허목선생이 쓴 글이라고 합니다.


사당을 나와 뒤에 있는 언덕을 올라갑니다. 장절공의 묘가 있는 곳이지요.


하늘을 찌르는 우람한 소나무.
소나무가 장군의 위엄을 닮았습니까?
하늘이 너무 아름다운 날이었습니다.


장군의 묘 앞에서 내려다 본 모습니다. 정말 아름다운 곳입니다.
숙종 때 묘소를 정비했다는데 언덕이 여주에 있는 효종임금 릉처럼 생겼습니다.


장절공 평산신공 신숭겸 어른의 허묘(가짜 묘)라고 쓴 비석이 서 있습니다.
허묘가 된 이유는 시신은 찾았지만 목을 찾지 못한 사연 때문입니다.

비석 뒤에 봤더니 박정희 때 검찰총장과 법무부 장관을 지낸 아름답지 못한 이력을 가진 신직수란 분이
숙종 때 다시 세운 비문이 너무 낡아서 다시 세웠다는 내용이 쓰여 있네요.


하늘에서는 빠른 기류를 타고 차가운 기운이 남하하고 있습니다.
하늘을 가르는 구름을 한번 쳐다 봅니다.


왜 허묘이고 봉분이 3개인줄 아세요?

후삼국 시대, 대구 팔공산 전투에서 고려 태조는 후백제군에게 포위가 되었습니다.
경애왕을 죽인 후 전주로 되돌아가는 백제군을 공격하기 위해 급하게 군대를 끌고 왔기 때문에 중과부적이었던거죠.

김락 장군을 비롯한 몇명이 변복을 하고 태조를 호위해 탈출을 하는 동안 장절공은 왕의 수레를 타고
태조가 진중에 남아 있는 것처럼 위장을 해서 후백제군을 유인해 싸우다가 전사했습니다.
견훤왕은 화가 나서 신숭겸의 목을 베었지요.

뒤늦게 눈치채고 태조를 뒤쫒았지만 김락 장군이 태조를 탈출시키고자 길목을 지키며 목숨을 던져 싸운 덕분에
태조는 단신으로 도망쳐 살았고,
구원부대를 이끌고 후백제군을 추격해 신숭겸장군의 시신을 되찾았지만 목은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태조는 황금으로 장절공의 얼굴을 만들어 시신에 붙여서 장사를 지냈는데
이 소문을 듣고 도굴꾼들이 몰려들 것을 걱정해 봉분을 세개나 만들었습니다.
어디에 시신이 있는 지 알지 못하도록 위장을 한 거죠.

훗날 고려의 예종임금은 국가 축제인 팔관회 때 장절공과 김락 장군의 충절을 기리고자
몸소 도이장가(두 장수를 추도하는 노래)를 지어 공을 기렸습니다.
기억하실 지 모르겠는데 신라 향가체로 지은 마지막 노래입니다.



여기서 눈썰매를 타면 좋겠다는 발칙한 생각을 하는 연우와 준기는 역시 어린아이네요.


사당 올라오는 길목에 서 있는 장절공의 동상입니다.
여긴 제대로 장수답게 왼손에 장검을 들고 서 있네요.


그런데 동상 뒤에 있는 부조가 거슬립니다.
이건 장절공이 팔공산에서 고려태조를 피신 시킨 뒤에 왕의 수레를 타고 후백제군과 싸우는 모습을 묘사한 것입니다.

오른족 아래에 후백제 병사가 들고 있는 당파(삼지창 모양)가 보이시나요?
이건 16세기 후반 명나라에서 개발한 무기입니다. 10세기 초반 전투에 등장하면 안되는 무기지요.

중앙 상단에 임금의 수레를 타고 전투를 지휘하는 장절공의 모습이 보이시나요?
위장을 하고 있다지만 임금의 수레는 선봉에 서지 않습니다. 항상 중군에 서지요.
당연히 뒤쪽에 새겨야 하는데 선봉에 새겼습니다.


이건 장절공의 신기에 가까운 화살 솜씨를 소개한 일화입니다.

태조와 함께 평산을 지나다가 까마귀 3마리가 날아가는 것을 보고
태조께서 장절공에게 3번째 기러기 왼쪽 날개를 맞출 수 있냐고 묻자 장절공이 그대로 명중시키는 모습입니다.

그런데 이 부조에서 잘못된 부분이 있습니다.
언덕 위 깃발 아래에 앉아 있는 분은 태조입니다. 신하인 장절공은 당연히 말에서 내려서 있어야 합니다.
또, 말은 무엇인가에 놀라지 않으면 저렇게 앞발을 들지 않습니다.
저렇게 말이 놀라는 상황이라면 장절공은 활을 쏠 수 없습니다.
장절공이 말에서 내려서 활을 쏘는 모습이던가 말이 네 발굽을 땅에 붙이고 있는 평상 상황이어야 그림이 맞습니다.



장절공 사당으로 가는 길에  보이는 방동리 고구려 고분입니다. 
약 1500~1600년 전 고분인데 지금은 묘실만 노출된채 남아 있습니다.
이번 태풍 때 위에 묘실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 지붕이 날아간 모양입니다.
임시로 방수막을 덧대 놓았습니다.



모두 도굴된 상태로 발견되었던 모양입니다.
노출된 상태를 보면 전형적인 고구려 적석묘입니다.
무덤 벽에 회칠을 한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프레스코 기법으로 벽화를 남긴 5세기에서 6세기 경의 고구려 고분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늘에 바람이 정말 빠르게 부나 봅니다.
새털 구름이 날리는 모습이 곧 차가운 겨울이 올 것을 예고하네요.